[스크랩]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화가 백곡(栢谷) 김득신의 그림세계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화가 백곡(栢谷) 김득신의 그림세계 김득신(金得臣: 1604년(선조 37)∼1684년(숙종 10))은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 어릴 때 천연두를 앓아 노둔한 편이었으나, 아버지의 가르침과 훈도를 받아 서서히 문명을 떨친 인물이다. .. 동양화 2016.07.17
[스크랩] 김득신의 살아있는 그림들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의 살아있는 그림들 영조 30년에 태어나 순조 22년까지 살다간 김득신의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대대로 화원(畵員)을 하여 유명한 개성(開城) 김씨 집안 출신의 화원(畵員)으로, 자는 현보(賢輔), 호는 긍재(兢齋)· 홍월헌(弘月軒)이다. 화원이었던 응리(應履)의 아.. 동양화 2016.07.16
김득신의 야묘도추 이전 재생 정지 다음 SET LIST prologue blog photolog videolog map library apps memo guest blog 다시 읽고 싶은 링크를 퀵에디터로 남겨보세요. 포스트쓰기 가벼운 글쓰기툴 퀵에디터가 오픈했어요! 東洋畵 목록열기 (397) 목록열기 스크랩 엮인글 김득신. 야묘도추 東洋畵 / 보고싶은 美術 2009.10.03. 19:17 http:.. 동양화 2016.07.15
김득신의 파적도(破寂圖) 김득신의 파적도(破寂圖)Posted at 2008/11/20 15:26 Filed under 취미/그림 파적도 파적도 (破寂圖) 야묘도추, 18세기, 종이에, 담채 22.5cm X 27.2cm, 간송미술관 긍제(兢薺) 김득신(金得臣) ,1754~1822, 조선 후기 화가 요사이 신윤복에 대한 드라마와 영화로 주변에서 조선시대 화원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 동양화 2016.07.15
신사임당 신사임당 다른 표기 언어 申師任堂 툴바 메뉴 폰트확대|폰트축소|공유하기| 공유서비스 더보기카카오스토리트위터페이스북인쇄 미리보기|문의 요약 테이블시대 조선 출생일시1504년 사망일시1551년 목차펼치기 1.그림에 뛰어난 자질을 보이다 2.조선 제일의 여류화가 3.대학자 율곡 이이의.. 동양화 2016.07.06
신윤복 조선시대 화가 신윤복의 그림 [ 기방무사 (妓房無事) (1805) ] 방안에서 남녀가 무슨 일을 하고 있다가 누군가 들어오는 소리에 당황한 듯 하죠? 아마도 방안의 여인은 기생의 몸종이고 방안의 남자는 기생을 찾아왔다가 그녀의 몸종과 사랑을 나누던 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갑자기 기생.. 동양화 2016.06.06
[스크랩] 혜원 신윤복<미인도> 혜원풍속도(蕙園風俗圖) 미인도(美人圖),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간송미술관 소장 19세기 초로 추정 단오풍정 (端午風情) '혜원풍속도첩 (蕙園風俗圖帖)' 중에서,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소장 1805년 이후 작품으로 추정 청금상련 (廳琴賞蓮), 혹은 연당야유 (蓮塘野遊)라 불림. '혜원풍속도.. 동양화 2016.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