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 제
일지 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 양하야 잠 못 들어 하노라
( 흰 배꽃이 피어 있는 가지 위에 달빛이 더욱 희고, 은하수가 높은이 한밤(밤 11시부터 오전 1시 사이)에 배꽃 가지에 어려오는 봄. 그 봄을 느끼는 마음에 또 하나 움터오는 내 마음을 두견(두견새)이야 어찌 알랴마는 아픈 마음 수북하게 쌓여 오는 이 밤, 잠을 이룰 수 없어 더욱 괴롭다는 뜻)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梨花(이화)에 月白(월백)하고 銀漢(은한)이 三更(삼경)인 제,
一枝春心(일지춘심)을 子規(자규)야 알냐마는,
多情(다정)도 병인 양하여 잠 못 드러하노라.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전문 풀이]
하얗게 핀 배꽃에 달은 환히 비치고 은하수는 (돌아서) 자정을 알리는 때에
배꽃 한 가지에 어린 봄날의 정서를 자규가 알고서 저리 우는 것일까마는
다정다감한 나는 그것이 병인 양, 잠을 이루지 못하노라.
지은이 - 이조년(1269-1343) 고려 말 학자. 정치가.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 또는 백화헌(百花軒).
연대 - 고려 말
갈래 - 평시조
성격 - 다정가(多情歌)
표현 - 상징법, 의인법. 시각적 심상과 청각적 심상이 잘 어우러져 봄밤의 애상적 정조를 심화시키고 있다.
내용 - 초장(봄밤의 배경) 중장(봄밤의 애틋한 감정) 종장(봄밤의 애상)
주제 - 봄밤의 애상적(哀傷的) 정서
일명 다정가(多情歌)라고도 하는 이 작품은 《해동가요(海東歌謠)》와 《청구영언(靑丘永言)》, 그리고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에 실려 전한다. 고려말의 문신 이조년이 봄밤의 정서를 노래한 작품으로 시각적·청각적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잘 형상화한 시조다. 세 줄 형식의 평시조인데, 음보의 외형률을 지닌 정형시라고 할 수 있다. 청초·결백·냉담·애상 등의 속성을 지닌 '이화(梨花:배꽃)'를 제재로 하여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한(恨)의 정서를 애상적인 어조로 노래한 서정시라고 할 수 있다.
이조년 [李兆年, 1269~1343]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 성주(星州)이고, 호는 매운당(梅雲堂) ·백화헌(百花軒)이다. 별칭으로 자는 원로(元老)이며, 시호 문열(文烈)이다.
1294년(충렬왕 20) 진사로 문과에 급제하여 안남서기(安南書記)가 되고 예빈내급사(禮賓內給事)를 거쳐 지합주사(知陜州事) ·비서랑(書郞) 등을 역임하였다. 1306년 비서승(書丞) 때에는 왕유소(王惟紹) 등이 충렬왕 부자를 이간시키고 서흥후(瑞興侯) 전(琠)을 충렬왕의 후계로 삼으려 하자 어느 파에도 가담하지 않고 최진(崔晉)과 충렬왕을 보필하였으나 이 사건과 연루되어 귀양을 가기도 했다. 그 후 풀려나와 1313년간 고향에서 은거했고, 심양왕(瀋陽王) 고(暠)의 왕위찬탈 음모를 원나라에 상소하기도 하였다.
1230년 충숙왕 귀국 후 감찰장령(監察掌令)이 되고 전리총랑(典理摠郞)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에 승진하였으며, 여러 차례 원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1240년 충혜왕이 복위하자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오르고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이 되어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 왕의 음탕함을 간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이듬해에 사직하고 그 후에 성근익찬경절공신(誠勤翊贊勁節功臣)이 되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l수가 전한다. 공민왕 때 성산후(星山侯)에 추증되었고, 충혜왕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古時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시의 절구와 율시란? (0) | 2018.06.22 |
---|---|
한시를 재미있게 (0) | 2017.08.26 |
[스크랩] 한시의 형식(종류와 규칙) ... [한시의 종류. 압운법. 대구법. 읽는법] (0) | 2016.10.26 |
상 강 (霜 降) (0) | 2016.10.23 |
옛 한시모음 (0) | 2016.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