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의 형식(종류와 규칙)
[한시의 종류. 압운법. 대구법. 읽는법]
1.한시의 종류
◈고체시(古體詩)
당(唐)나라 이전의 한시. 시의 형식이 자유롭다. (詩經, 楚辭, 古詩, 樂府)
◈근체시(近體詩)
당(唐)나라 이후의 한시. 시의 형식이 자유롭지 않다. (<五, 七言>絶句詩, 律詩, 排律詩.)
2.압운법押韻法
☞운자(韻字)
정해진 자리에 같은 음조(音調)를 가진 글자를 놓는 법.
제 1구 운자 놓는 법 ; 가운데 소리나 끝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글자.
☞절구시(絶句詩) 경우
▶오언절구
2구와 4구 끝자에 운자를 붙이는 것이 법칙이나, 제 1구 끝자에도 붙이는 경우도 있음.
▶칠언절구
1, 2, 4구 끝자에 운자를 붙이는 것이 법칙이나 제 1구 끝자에 붙이지 않은 경우도 있음.
☞율시(律詩) 경우
▶오언율시
2, 4, 6, 8구 끝자에 운자를 붙이는 것이 법칙이나, 제 1구 끝자에 붙이는 경우도 있음.
▶칠언율시
1, 2, 4, 6, 8구 끝자에 운자를 붙이는 것이 법칙이나, 제 1구 끝자에 붙이지 않는 경우도 있음.
3.대구법對句法
漢詩에 있어서 많이 쓰는데 두 구(句)가 상대(相對)되거나 상응(相應)되는 구(句)로 구성하는 법.
공통점. ① 글자수가 같다. ② 문장성분의 배열이 거의 일치한다. ③ 문장의 해석 순서가 거의 같다.
▶절구(絶句) ; 기구(起句)와 승구(承句)가 대(對)를 이루거나, 전구(轉句)와 결구(結句)가 대(對)를 이룸.
▶율시(律詩) ; 3구(句)와 4구(句)가 대(對)를 이루거나 5구(句)와 6구(句)가 대(對)를 이룸.
☞대구(對句)를 할 경우의 이점.
시적(詩的)인 운률(韻律)의 효과와 뜻을 강조하는데 효과가 크다.
4.읽는법
☞오언시 경우 ; 2 / 3 자로 읽는다.
☞칠언시 경우 ; 4 / 3 자로 읽는다
'古時調'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정가- 이화에 월백하고 (0) | 2018.02.12 |
---|---|
한시를 재미있게 (0) | 2017.08.26 |
상 강 (霜 降) (0) | 2016.10.23 |
옛 한시모음 (0) | 2016.09.16 |
[스크랩] 시조와 한시는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0) | 2016.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