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時調

[스크랩] 시조와 한시는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권운영 2016. 8. 4. 08:45

시조 (時調)

- 문학의 예

   고려 말기부터 발달하여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6구 4보격(步格)의 기본 형태를 가진 평시조와 파격의 엇시조,

   사설시조로 나눕니다.

- 음악의 예

  조선 시대에 확립된 3장 형식의 정형시에 반주 없이 일정한 가락을 붙여

  부르는 노래.  조선 영조 때의 가객(歌客) 이세춘이 만든 것으로,

  평시조·중허리시조·지름시조·사설지름시 조로 나눕니다.

   * 비슷한 말로는 시절가, 시조창이 있습니다.

  

 

 

 

 

한시[漢詩]

- 한문으로 이루어진 정형시. 고대 중국에서 이루어진 양식으로,

  평측과 각운에 엄격하며, 한 구(句)는 네 자, 다섯 자, 일곱 자로 이루어 집니다.

  고시, 절구, 율시, 배율등이  있습니다

  * 중국 한나라 때의 시가 유명 하다.

 

즉 시조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옛날 시라고 생각하면 되고

    시조를 읆조리다 라고 표현 합니다.

     즉 말로서 표현을 하는 것이죠

 

한시는 중국의  시라고 보면 됩니다.

     한시는 읆조리다 라는 표현을 하지않고 풀어서 표현하는 것이 한시라고 보면

     됩니다.  

 

 

 

출처 : 한국문학정신
글쓴이 : 홍은희 원글보기
메모 :

'古時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 강 (霜 降)  (0) 2016.10.23
옛 한시모음  (0) 2016.09.16
음보  (0) 2016.08.04
귀촉도 불여귀야  (0) 2016.06.23
귀촉도 불여귀야   (0)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