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매 차 ◆매화 매화 :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으로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꽃을 피워 봄을 알린다. 흰색, 또는 분홍색의 꽃은 매우 향기가 그윽하다. 꽃색에 따라 백매, 청매,홍매로 불린다. 청매화차 외로움이 뼛속까지 스미었을까 봄날의 몸살끼처럼 온 몸이 으스스 떨려오는 새벽 한기 밀.. 禪과 茶 2015.04.25
동양의 노장철학 동양의 노장철학“뛰어난 덕을 지닌 사람은 덕을 마음에 두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이지 않은 덕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덕이 적은 사람은 덕을 잃지 않으려고 애쓰기 때문에 도리어 덕이 없어지고 억지로 하여 인위적이 된다.” -노자의 도덕경- “지덕한 사람은 자기와 세상을 완연히 초.. 禪과 茶 2014.08.16
묵지염불 묵지염불 입으로 부르면서 하는 염이 다하고 다해 생각의 때가 없는 염이 됩니다. 자나깨나 어둡지 않으며 움직일 때나 고요할 때나 늘 잊어 버리지 않고 마음 다해 나무아미타불을 말없이 염하되 그 수가 끝이 없도록 합니다. 그리하여 생각생각에 끊어짐이 없어 끝내 말없음마저 없어 .. 禪과 茶 2014.08.07
시와 명상/오쇼 라즈니쉬 시와 명상/오쇼 라즈니쉬 만약 시가 그대를 명상으로 이끌 수 없다면, 그것은 이미 시가 아니다. 그것은 솜씨있는 낱말로 구성되었을지도 모르지만 그 안에는 어떤 시상도 들어 있지 않다. 그대는 시를 쓰는 방법에 대한 모든 법칙을 알고 있는 훌륭한 언어학자, 작가, 문법 학자가 될지는.. 禪과 茶 2014.03.15
[스크랩] 차 마시는 법 차를 마시는 이유 * 건강에 이롭기 때문이다. * 사색의 공간을 넓혀주고 마음의 눈을 뜨게 해준다. * 사람으로 하여금 예의롭게 해 주기 때문이다. 차 마시기 泡茶法 ; 포자라고도 한다. 잎차를 우려서 다탕으로 우려마시는 법 끽다(喫茶) ; 보통 차를 마시는 것을 끽다라고 마실끽자를 쓴다.. 禪과 茶 2013.02.08
[스크랩] ★茶禮床 차리는 법 ★茶禮床 차리는 법 (출처:본인저장) *차례도 家禮에 屬함으로 표준은 있으나 지방과 문중 또는 가문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어 옛부터 家家禮라하여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탓하지 않으것이 禮임.(이상백) ★茶禮床 차리는 법 차례는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에 지내는 간소한 약식 제사입.. 禪과 茶 2013.01.19
[스크랩] 백하수오효능과 적하수오효능의 차이점 백하수오효능과 적하수오효능의 차이점 백하수오효능과 적하수오효능은 같은 하수오지만 다릅니다. 잘못된 정보가 많이 정확히 정리 해드리려고 합니다. (어려운말 쓰지않고 편히 보실수 있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백하수오는 박주가이과 식물 적하수오는 마디풀과 식물 입니다. (백.. 禪과 茶 2013.01.17